분류 전체보기258 [Swift] ARC에 관한 문제 해결하기(클래스에 관하여) 저번 글에서는 ARC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보았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바로 메모리 낭비가 일어난다는 것이었고 오늘은 어떻게하면 그 메모리 낭비를 하지 않을 수 있는지 그 해결책에 관해서 알아보려 한다. 1. 약한 참조를 이용하기(ex. weak var) 참조의 갯수를 파악에 대상이 되는 것은 강한 참조이다. 즉 강한 참조를 한다면 ARC가 그것을 알아차리고 클래스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의 수를 1증가시킬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1을 증가 시키지 않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약한 참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평소에 우리가 선언하는 변수나 상수는 자동으로 강한 참조를 하게 되어있다. 여기서 우리가 약한 참조로 바꾸기 위해서는 var 이나 let 앞에 weak이라는 것을 같이 선언해주면 그것은 더 .. 2020. 7. 19. [Swift] ARC의 정의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나는 스위프트로 App을 만드는 것을 즐긴다. 하지만 초심자는 "이것이 과연 메모리(ex RAM)에 얼마나 영향(무게)을 줄 것인가"까지 고려하지는 않는다. 눈 앞의 구현도 벅차는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더 나은 프로그램을 위해 ARC를 알면 좋다. ARC는 램에 영향을 줄이려고 만들어진 체계라고 보면 쉽다. 시작 전에 이 글은 docs.swift.org/swift-book/LanguageGuide/AutomaticReferenceCounting.html의 내용을 필자가 번역하며 쓴 글임을 밝힌다. 1. ARC란 무엇인가? ARC의 정의는 자동참조 카운팅으로 몇 번 인스턴스가 참조되는 지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현재 스위프트와 Objective-C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인스턴스를 참조한다는 .. 2020. 7. 10. 이전 1 ··· 62 63 64 65 다음